올바로 소개
시스템 소개
도입배경
				     	사업장폐기물의 배출부터 운반·최종처리까지의 전 과정을 종이인계서(수기전표) 대신 인터넷 또는 무선주파수인식기술(RFID)을 이용하여
실시간으로 폐기물의 전 생애를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폐기물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축
				실시간으로 폐기물의 전 생애를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폐기물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축
과거 수기전표 제도
- 폐기물을 발생시킨 배출자와 수집·운반업자 및 처리자와 이들을 감독하는 관할관청이 폐기물을 인계·인수할 때마다
종이로 된 인계서를 나눠 갖고 보관하도록 1999년 도입 - 
				        	
문제점
- 종이인계전표는 복잡한 행정절차와 과다한 업무량 및 행정비용 발생
 - 폐기물의 이동현황에 대한 실시간 분석 불가능
 
 
올바로시스템 개발
- 폐기물의 배출에서 최종 처리까지의 전과정을 온라인으로 실시간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(2002년)
 - 사업자와 행정기관 편의성 제공 및 폐기물의 투명한 관리를 통한 환경 보호
 
					    
					
법률근거
| 사업장일반/지정/의료 폐기물 | 
			                        	
  | 
			                    
|---|---|
| 건설폐기물 | 
			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| 
			                    
| 수출입폐기물 | 
			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| 
			                    
| 관련 고시 | 
			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| 
			                    
사용대상
관할행정기관에 신고 또는 허가 받은 폐기물을 배출·운반·처리하는 자
| 배출자 | 운반자 | 처리자 | 
|---|---|---|
| 기준 : 허가증 및 신고증명서 등을 보유한 업체 | ||
| 사업장일반폐기물 | 폐기물 수집·운반업 | 폐기물 중간·최종·종합처분업 | 
| 지정폐기물 | 건설폐기물 수집·운반업 | 폐기물 중간·최종·종합재활용업 | 
| 의료폐기물 |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 | |
| 건설폐기물 | 폐기물처리(수집·운반·재활용)신고증명서 | |
| 수출입폐기물 | ||
※ 폐기물을 인계·인수 할 때 반드시 올바로시스템을 통해 전자인계서를 작성
연혁
- 2021건설폐기물 배출자 실적 증빙 제출 의무화
 - 2020폐기물처분업자 등 장부기록 의무화
 
- 2018재활용 제품 또는 물질 공급내역 입력 의무화
 - 2017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 계량값 자동전송
 - 2011전 사업장폐기물 전자인계서 사용 법적 의무화 시행
 - 2010
                     			
- 수출입폐기물포탈시스템 구축(http://exim.allbaro.or.kr)
 - Allbaro 모바일시스템 구축
 - 건설폐기물 전자인계서 작성 의무화 시행
 - Allbaro 시스템 베트남 진출
 
 
- 2009수출입폐기물관리시스템 구축, 폐기물 정보서비스 체계 구축
 - 2008
                   					
- 전자인계서 작성의무화, 올바로 관제센터 구축
 - 대형사업자 연계시스템 확대 구축
 
 - 2007Allbaro시스템 통합브랜드 운영
 - 2006 
~ 2007- 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 ARS도입
 - 대형사업장 연계시스템 구축
 - 폐기물적법처리 장애관리 및 SMS시스템 구축
 
 - 2004 
~ 2005- 건설폐기물정보관리시스템구축
 - 감염성폐기물관리시스템 구축
 
 - 2004재해복구센터 구축, 통계분석시스템 구축
 - 2003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 2단계(인허가 시스템, 분석시스템) 개발
 - 2002정상운영
 - 2000 
~ 2001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 1단계(인계정보시스템) 개발 
시스템 구성
	                	폐기물 관련 증명서, RFID/ARS/인터넷(모바일)/EDI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폐기물 인계정보관리, 폐기물 대장관리, 폐기물 배출·운반·처리의 연간 실적보고, 폐기물 정보제공 등 다양한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	            
	            
	                - 사용자 : 폐기물 종류(일반, 지정, 의료, 건설, 수출입)
 - Allbaro : 데이터 전달(인터넷, 모바일, RFID, EDI, ARS)
 - 
	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인허가 민원처리 는 지자체/환경청/관세청
 - 인계관리(배출/운반/처리) 는 배출자/운반자/처리자 가 Allbaro 시스템을 통해 환경부/지자체(감독기관) 이 처리함
 - 대장관리 이 행정기관(환경부/지자체/국회 등) 으로
 - 행정기관 이 실적보고 를 통해 통계정보 를 냄
 
 
올바로 CI정보
                   	 폐기물의 배출, 운반, 처리 각 단계별 과정을 인터넷을 통해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폐기물의 재활용, 적정처리의 폐기물 관리를
하나로 통합한 폐기물 종합관리시스템입니다.
                하나로 통합한 폐기물 종합관리시스템입니다.
개념

가장 이상적인 척도·기준(Barometer)이 되는
폐기물종합관리시스템을 의미
브랜드 정체성

- 브랜드 비전
 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All : 모든 폐기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
 - Basic : 발생부터 최종 처분까지 전과정 기본관리체계이다
 - Advanced : 폐기물 관리의 세계 최고가 된다
 - Right : 모두가 올바르게 처리하도록 감독 지원한다
 - Original : 독창적이고 창의적으로 시스템을 고도화 한다
 
 
- 브랜드 코어
 - Always Right and Green(언제나 올바르고 푸르게)
 
- 브랜드 네임
 - 모든(All) 폐기물을 적법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준(Barometer)
적법하게 올바로 폐기물을 처리하고 모든 것을 신속하게 처리한다는 의미도 내포 
- 디자인 개요
 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- 친환경 시스템 이미지
온라인환경에서 즉시 처리하는
On Button의 클릭이미지 - 한국의 우수한 시스템을
나타내는 태극모양
한국의 우수시스템이
세계 최고의 표준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- 자원순환형 Circle
블루오션(Blue), 환경(Green), 열정(Red)을 상징하며,
‘블루오션의 환경시장에서 열정으로 최고가 되자’는 의미 
 - 친환경 시스템 이미지